수행평가

1. 개념

수행평가는 학생들이 교과의 개념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문제 상황이 주어졌을 때 실제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평가를 의미한다.

2. 특징

수행평가는 평가자가 학습자들의 학습 과제 수행 과정 및 결과를 직접 관찰하고, 그 관찰 결과를 전문적으로 판단하는 평가방식을 말한다. 학습과정에서 학습목표의 성취도나 학습태도를 개별로 평가하며 학생이 지식을 일상적인 상황에서 응용하는 능력까지 평가하는 방식이다. 수행평가는 평가의 목적, 내용, 방법, 주체, 시기, 장면 등 여섯 가지 측면에서 기존의 평가와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수행평가는 학생의 학습과정을 진단하고 개별 학습을 촉진하려는 노력의 형성평가를 중시하는 평가이다. 둘째, 수행평가는 인지적 영역 위주의 평가나 암기력 및 단순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데 치중하는 평가로부터 탈피하려는 노력이다. 셋째, 수행평가는 자기 스스로 답을 작성하거나 행동으로 나타내도록 유도하는 평가방식이다. 넷째, 수행평가는 개개인을 단위로 해서 평가하기도 하지만, 집단에 대한 평가도 동시에 중시하는 평가이다. 다섯째, 수행평가는 핵생 개개인의 변화, 발달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전체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강조하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수행평가는 추구하고자 하는 교육목표의 달성 여부를 가능한 한 실제 상황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평가방식이다.

3. 절차

위긴스는 수행평가가 다른 평가와는 달리 갖추어야 할 특징을 네 가지로 설명하고 있는데 그의 이러한 개념화는 수행평가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방법적 지식으로 간주되고 있다. 첫째, 수행평가는 학생이 미래의 실제 직업 세계에서 경험하게 될 평가와 비슷한 형태의 평가여야 한다. 둘째, 수행평가는 단순한 탐구 기술의 확인이 아니라 복잡한 탐구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어야 하며 지식의 종합적인 사용 능력을 요구하는 것이어야 한다. 셋째, 수행평가는 비구조화된 문제로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수행평가는 의미 있는 구체적인 청중을 대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수행평가를 만드는데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직업세계에서 경험하게 될 평가와 비슷한 상황이 되어야 한다. 둘째, 교과 영역의 개념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복잡한 탐구 기술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평가는 구체적인 청중을 대상으로 한다.

4. 유형

첫째, 수행과제 중심의 평가문항이란 수행과제는 학생이 직접적인 수행을 통해 행할 수 있음을 드러내 주도록 요구하는 과제이다. 필기고사와 같이 구조화된 형태가 있는가 하면, 자연스런 상황에서 학생의 수행을 관찰하고 면담하는 형태도 있다. 둘째, 프로젝트 중심의 평가문항을 들 수 있다. 비교적 긴 시간 동안 학생이 해결해야 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실시된다. 셋째, 시범, 실연, 구두 발표나 연극을 통해 진행하는 수행평가 유형이 있다. 예체능이나 실과 같은 기능 중심의 교과에서 많이 활용된다. 주로 기능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가에 초점을 둔다. 넷째, 실험실습 및 실기활동이다. 직접 실증적인 연구문제를 설계하고 수행하여 결과를 해석하도록 요구한다. 다섯째, 포트폴리오평가이다. 학생의 능력과 특성을 평가함에 있어서 단일 자료가 아닌 장기적이고 다면적인 자료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학생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근거지속적이고 종합적인 발달상황을 확인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5. 장단점

수행평가는 무엇보다도 학습자가 '직접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현대의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수업 활동과 평가의 연계성을 높여준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 성과와 그 과정을 평가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수행평가는 양질의 과제 제작과 채점의 객관성을 유지하기가 매우 힘들며, 학생이나 교사 모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쏟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칫 하위 능력 학생의 의욕을 꺾을 우려가 있으며 특정 계층이나 문화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무조건 수행평가를 강요하기 보다는 교육목표의 특성을 충분히 분석하여 기존의 평가와 수행평가를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 즉, 수행평가와 기존의 객관식 위주의 필기고사는 학생의 다면적인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 교육과정 & 잠재적 교육과정

교수학습이론4(가네의 목표별 수업이론)

학급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