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육의 목적2
리와 화이트의 논쟁
화이트는 역사 그 자체는 학교 교육과 구별되는 목적을 가질 수 있으니 학교 교과로서의 역사는 역사 연구 그 자체보다는 학교 교육의 목적을 중시해야 하며, 따라서 학교 역사는 민주 시민의 덕목을 기르는 교육의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이트에 따르면 그것은 자립적인 인간으로서 자신이 지향하는 바를 선택하는 것에 따른 가능성과 조건을 이해하고 그것의 사회적 조건과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다.
반면에 리는 역사는 내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정치적 목적(시민 교육을 포함해서)에 이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외재적인 정치적 목적을 위해 역사가 이용될 경우 역사의 특성인 객관성과 이탈성이 훼손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화이트는 리가 주장하는 역사의 고유한 변형적 목적, 즉 학생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과 그것을 통해 스스로를 변화시키는 것도 따지고 보면 개인이 속한 사회의 가치를 반영한 것이라고 반박한다. 아무리 학생 스스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더라도 역사 학습을 통해 인종차별을 조장한다거나 파시즘을 주이하여 학생을 변화시키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학생 스스로의 판단을 중시하는 가치중립적인 변형적 목적이라는 것도, 시민 교육의 일반 목적에 부속하는 학교 역사의 목적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화이트는 역사 그 자체는 학교 교육과 구별되는 목적을 가질 수 있으니 학교 교과로서의 역사는 역사 연구 그 자체보다는 학교 교육의 목적을 중시해야 하며, 따라서 학교 역사는 민주 시민의 덕목을 기르는 교육의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이트에 따르면 그것은 자립적인 인간으로서 자신이 지향하는 바를 선택하는 것에 따른 가능성과 조건을 이해하고 그것의 사회적 조건과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다.
반면에 리는 역사는 내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정치적 목적(시민 교육을 포함해서)에 이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외재적인 정치적 목적을 위해 역사가 이용될 경우 역사의 특성인 객관성과 이탈성이 훼손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화이트는 리가 주장하는 역사의 고유한 변형적 목적, 즉 학생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과 그것을 통해 스스로를 변화시키는 것도 따지고 보면 개인이 속한 사회의 가치를 반영한 것이라고 반박한다. 아무리 학생 스스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더라도 역사 학습을 통해 인종차별을 조장한다거나 파시즘을 주이하여 학생을 변화시키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학생 스스로의 판단을 중시하는 가치중립적인 변형적 목적이라는 것도, 시민 교육의 일반 목적에 부속하는 학교 역사의 목적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