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의 기능
1. 시험의 교육적 기능
평가는 교육적 기능을 가지고 있고, 교육의 결과에 대한 어떤 행위라기 보다 교육적 행위 그 자체이다. 즉 평가는 교육을 마친 뒤의 결과를 측정하고 가치판단 하는 기능보다는 교육의 방향, 목표, 내용을 규정하고 학급활동을 규제 또는 지시하는 기능을 더 크게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교육이 평가를 결정한다기보다 오히려 평가가 교육을 결정할 수 있다.
몽고메리는 시험을 "교사와 학습과정의 핵심적 부분"이라고 규정하고, 그 기능을 자격부여, 경쟁촉진, 선발, 목표와 유인, 교육과정 결정, 학습성취의 확인과 미래학습의 예언이라는 여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교사는 교육과정에 포함된 내용을 가르치고, 그 가운데에서 시험문제를 출제한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이 가르치는 모든 것을 학습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 학생은 교사가 가르치는 것을 전부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시험에 출제되는 것을 학습한다. 시험이 교육과정을 결정한다. 이러한 시험의 기능을 "교육과정결정" 기능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아시아 지역의 유네스코 보고서는 시험의 교육적 기능을 순기능과 역기능으로 구별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시험의 순기능은 첫째, 질적 수준을 유지하고, 둘째, 학교 간 비교를 가능하게 하며, 셋째, 각 단계별로 이수해야 할 최저학습수준을 지시한다. 마지막으로 전국적 또는 지역적 표준화시험인 경우 교수의 개별적 평가가 범할 수 있는 편견에서 탈피 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시험은 다음과 같은 역기능을 갖는데 첫째, 암기력을 주로 테스트하게 되며, 둘째, 교육과정의 일부분만을 다루고, 셋째, 선택적 학습과 선택적 교수를 부추긴다. 넷째, 시험기간에 공부를 집중시켜, 정상적 공부습관을 약화시킨다. 다섯째, 시험의 결과가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중요해짐에 따라, 학생들의 불안감을 조성하고 시험에 관련된 사람에게 비정상적 행위를 유발시킨다. 여섯째, 교육과정, 교수방법 등에 관한 교육개혁을 가로막는다.
시험은 교육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순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그와 동시에 비교육적 기능도 가지고 있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2. 시험의 사회적 기능
시험은 사회적 지위경쟁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시험은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선발에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학력의 사회적 가치가 높은 '학력사회'에 있어서는 시험이 결과적으로 사회적 선발기제로서의 시험의 절차, 방법, 내용, 측정방식의 성격에 따라 전체 사회의 성격이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시험은 그것이 지니고 있는 사회적 기능 때문에 교육적 기준에 의해서만 좌우되지 않는다. 오히려 정치적, 경제적 또는 문화적 기준에 의하여 지배되는 경우가 더 많다. 그 때문에 시험은 나라에 따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시험은 정치, 경제, 문화의 지배를 받지만, 양자의 관계는 일방적 관계가 아니며 상호적이다. 시험도 사회에 영향을 준다. 시험은 사회의 어떤 특성을 존속 또는 강화시킬 수 있고, 반대로 약화 소멸 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면에서 시험은 대단히 중요한 사회적 기제의 하나가 된다.
시험의 사회적 기능은 '사회적 선발', 지식의 공식화와 위계화, 사회통제, 사회질서의 정당화와 재생산, 문화의 형성과 변화의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5지 택1식 평가가 지배하는 교육은 자유롭게 개방적으로 사고하는 주체적 인간을 길러내지 못한다.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자세, 독선적이고 감정적인 사고, 충동적 성격을 배양할 가능성이 높다. 매사를 정답 아니면 오답으로 구분하는 사고가 길러지는 것이다.
시험을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시행하느냐에 따라 한 사회의 지적 풍토를 황폐화 시킬 수도 있고 살아 움직이게 만들수도 있는 것이다.
평가는 교육적 기능을 가지고 있고, 교육의 결과에 대한 어떤 행위라기 보다 교육적 행위 그 자체이다. 즉 평가는 교육을 마친 뒤의 결과를 측정하고 가치판단 하는 기능보다는 교육의 방향, 목표, 내용을 규정하고 학급활동을 규제 또는 지시하는 기능을 더 크게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교육이 평가를 결정한다기보다 오히려 평가가 교육을 결정할 수 있다.
몽고메리는 시험을 "교사와 학습과정의 핵심적 부분"이라고 규정하고, 그 기능을 자격부여, 경쟁촉진, 선발, 목표와 유인, 교육과정 결정, 학습성취의 확인과 미래학습의 예언이라는 여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교사는 교육과정에 포함된 내용을 가르치고, 그 가운데에서 시험문제를 출제한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이 가르치는 모든 것을 학습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 학생은 교사가 가르치는 것을 전부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시험에 출제되는 것을 학습한다. 시험이 교육과정을 결정한다. 이러한 시험의 기능을 "교육과정결정" 기능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아시아 지역의 유네스코 보고서는 시험의 교육적 기능을 순기능과 역기능으로 구별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시험의 순기능은 첫째, 질적 수준을 유지하고, 둘째, 학교 간 비교를 가능하게 하며, 셋째, 각 단계별로 이수해야 할 최저학습수준을 지시한다. 마지막으로 전국적 또는 지역적 표준화시험인 경우 교수의 개별적 평가가 범할 수 있는 편견에서 탈피 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시험은 다음과 같은 역기능을 갖는데 첫째, 암기력을 주로 테스트하게 되며, 둘째, 교육과정의 일부분만을 다루고, 셋째, 선택적 학습과 선택적 교수를 부추긴다. 넷째, 시험기간에 공부를 집중시켜, 정상적 공부습관을 약화시킨다. 다섯째, 시험의 결과가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중요해짐에 따라, 학생들의 불안감을 조성하고 시험에 관련된 사람에게 비정상적 행위를 유발시킨다. 여섯째, 교육과정, 교수방법 등에 관한 교육개혁을 가로막는다.
시험은 교육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순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그와 동시에 비교육적 기능도 가지고 있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2. 시험의 사회적 기능
시험은 사회적 지위경쟁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시험은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선발에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학력의 사회적 가치가 높은 '학력사회'에 있어서는 시험이 결과적으로 사회적 선발기제로서의 시험의 절차, 방법, 내용, 측정방식의 성격에 따라 전체 사회의 성격이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시험은 그것이 지니고 있는 사회적 기능 때문에 교육적 기준에 의해서만 좌우되지 않는다. 오히려 정치적, 경제적 또는 문화적 기준에 의하여 지배되는 경우가 더 많다. 그 때문에 시험은 나라에 따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시험은 정치, 경제, 문화의 지배를 받지만, 양자의 관계는 일방적 관계가 아니며 상호적이다. 시험도 사회에 영향을 준다. 시험은 사회의 어떤 특성을 존속 또는 강화시킬 수 있고, 반대로 약화 소멸 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면에서 시험은 대단히 중요한 사회적 기제의 하나가 된다.
시험의 사회적 기능은 '사회적 선발', 지식의 공식화와 위계화, 사회통제, 사회질서의 정당화와 재생산, 문화의 형성과 변화의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5지 택1식 평가가 지배하는 교육은 자유롭게 개방적으로 사고하는 주체적 인간을 길러내지 못한다.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자세, 독선적이고 감정적인 사고, 충동적 성격을 배양할 가능성이 높다. 매사를 정답 아니면 오답으로 구분하는 사고가 길러지는 것이다.
시험을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시행하느냐에 따라 한 사회의 지적 풍토를 황폐화 시킬 수도 있고 살아 움직이게 만들수도 있는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