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습에서 행동목표와 구현목표

1. 교육목표의 상세화

교육과정의 목표모형에서는 학습의 결과를 제3자가 분명하게 알 수 있도록 교육목표를 명시적인 행동 용어로 제시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다시말해 교육목표는 다음의 세 가지 요건을 지녀야 한다. 첫째, 학습자가 학습의 결과로 행동할 수 있는 것을 기술하고, 둘째, 학습자가 행동하는 것을 보고 관찰자가 목표의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기술하며, 셋째, 학습자의 도달점을 기술할 때 학습자가 목표를 달성하려면 어떤 교육이 필요한지를 명시해야 한다. 이렇게 교육목표를 명시적인 행동 용어로 제시하는 것을 교육목표의 상세화라고 하는데, 이것은 객관적인 평가를 전제로 한 것이다.

그런데 역사 학습의 경우 목표모형에 입각해서, 학습목표를 명시적 용어로 제시할 수 있는 경우는 제한적이고 하찮은 경우가 많다. 또한 명시적인 행동목표는 특별한 행동을 교육 경험의 산물로 상술하기 때문에 관련된 사고 과정보다는 최종 산물을 강조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목표모형론자들의 명시적인 행동목표는 지식이나 관찰 가능한 기능에 관한 학습목표를 제시하는 데는 적절하지만, 역사적 사고력 같은 추상적인 능력에 관한 학습목표를 제시하는 데는 부적절하다.

2. 구현목표

명시적인 행동목표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구현목표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구현목표는 교사가 학생들을 이끌어가는 특별한 목표나 행동 형식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 사고-감정-행동의 형식을 이끌어가도록 의도한 것이다. 구현목표는 수업목표와 달리 수업에서 도달할 목표를 분명히 규정하지 않은 채 수업의 범주만을 규정한 것으로, 학습의 결과보다는 과정에 관심을 두는 것이다.

구현목표는 목표모형론자의 학습목표처럼 도달해야 할 지점이 명시적인 행동용어로 제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학습목표라기보다는 학습주제인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평가의 준거로 삼기에는 부적절해 보인다. 하지만 구현목표를 제시할 경우 교사는 예술가처럼 학생들의 학습 결과를 비평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습목표의 진술과 평가라는 차원에서 목표모형의 수업목표는 객관성을 강조한 것이라고 볼 수 있고, 구현목표는 주관성을 인정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구현목표란 개념은 아직 체계화되지 않았고, 평가 준거도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전적으로 따르기는 어렵다. 다만, 명시적 행동목표가 가지는 문제점을 시정하는 대안으로 고려할 수는 있다. 역사의식이나 역사적 사고력과 관련된 학습목표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좀 더 포괄적인 용어로 진술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역사의식이나 역사적 사고력의 육성을 위한 역사 학습의 경우 목표모형의 행동목표보다는 좀 더 포괄적으로, 구현목표보다는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 교육과정 & 잠재적 교육과정

교수학습이론4(가네의 목표별 수업이론)

학급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