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이

1. 전이 

전이는 이전의 학습이 새로운 학습 혹은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특정 장면에서 학습한 지식이나 기술이 새로운 장면의 학습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주로 장기기억과 관련이 있다.

2. 전이 이론

형식도야설은 능력심리학에 기초하고 있고, 교과형 교육과정도 관련된다. 능력심리학은 정신능력도 훈련으로 연마할 수 있으며, 일단 정신능력이 연마되면 새로운 장면에 광범위하고 자동적으로 전이된다고 주장한다. 요컨데 형식도야설은 일반능력이 광범위한 영역으로 전이된다는 관점이다. 그러나 손다이크는 이 이론에 심각한 반론을 제기하였다. 그는 추리능력을 발달시키는 데 한 교과가 다른 교과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증거가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손다이크는 형식도야설에 대한 비판을 하면서, 전이의 동일요소설을 제안하였다. 동일요소란 최초 학습상황과 전이가 일어날 새로운 상황에 다 같이 나타나는 것이다. 즉, 어떤 교과의 구체적 내용이 다른 교과를 학습하는 데 필요할 경우에만 전이가 일어난다고 주장하였다. 전이는 광범위하게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한 영역의 학습효과는 다른 학습에 같은 요소를 갖는 만큼 전이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선행학습과 후행학습 간에 적극적인 전이가 이루어지게 하려면, 두 상황의 유사성, 자극이나 반응의 유사성 또는 원리의 유사성이 있어야 하는 것이며, 그 유사성의 정도가 클수록 보다 더 많은 전이가 일어난다고 본다.

일반화설이란 전이가 일어날 수 있는 중요한 조건은 학생들이 새로운 장면에 적용하거나 일반화할 수 있는 일반 법칙이나 원리를 학습하는 것이라고 믿는 이론이다. 즉, 일반적인 지식,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을 알면 비슷한 학습이나 경험에 전이가 일어난다고 본다. 일반화설에 따르면 전이의 가장 중요한 조건은 두 학습장면에 존재하는 일반원리나 법칙의 유사성이다. 일반화설은 학생이 일반화를 이해하면 전이가 자동적으로 일어난다고 본다. 일반화설은 보다 효과적인 교수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교사는 여러 교과목에 포함되어있는 수많은 특수한 사실들을 가르치기보다는 의미 있는 개념이나 원리를 가르칠 수 있다. 또한 일반화를 강조하는 학교활동들, 예컨대 문제해결수업, 학급토의 등이 활용될 수 있다.

형태이조설은 일반화설이 확장된 것이다. 이 이론은 어떤 상황에서의 완전한 형태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원리를 이해하는 것보다 전이가 더 잘 일어나도록 한다는 것이다. 형태이조설은 어떤 장면 또는 학습자료의 역학적 관계를 통찰해야 다른 장면이나 학습자료에 전이가 이루어진다는 설이다. 즉, 선행과 후행의 두 가지 학습자료 간의 단편적인 요소나 원리의 공통성에 의하여 전이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이해하는 형태나 관계성에서 전이현상을 파악하려는 입장이다. 전이가 일어나려면 학생이 스스로 관계를 파악하고, 그것을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기계적으로 기억하지 말고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

3.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교사들이 학생들의 전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음의 요인들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첫째, 두 학습 상황 사이의 유사성이다. 두 학습상황이 더욱 근접하게 관련되어 있을수록 전이가 일어날 가능성은 더 높아진다. 둘째, 이전 학습에서 이해의 깊이이다. 전이는 이전에 일어난 학습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이해를 요구한다. 만약 이전 학습에 대한 학생의 이해력이 부족하다면, 교사는 다양한 좋은 예들을 상황과 함께 제공해 주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학습환경의 질이다. 학습경험이라는 것은답을 아는 것만큼 답에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시되는 경험을 의미한다. 근거를 강조하는 것이 학습경험의 질을 보장해 주는 것이다. 넷째, 학습자 경험을 위한 맥락이다. 사용되는 맥락과 함께 주어진 정보는 이론적으로 배운 내용보다 훨씬 더 의미있다. 다섯째, 학습맥락과 경험의 다양성이다. 한 맥락에서 학습된 지식과 기술이 다른 맥락에 적용되기 위해 교사는 반드시 맥락의 다양성 내에서 개념과 문제를 제시해야 한다. 여섯째, 메타인지의 강조이다. 학생들이 학습전략과 문제해결을 점검하고 반추하여 향상하도록 격려하는 것 또한 전이를 증대시킨다. 교사는 학습이 메타인지에 의해 촉진된 유의미한 활동이라는 일상적인 메시지와 훈련을 넘어서는 본보기를 보여줌으로써 이러한 성향들의 전이를 촉진시킬 수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 교육과정 & 잠재적 교육과정

교수학습이론4(가네의 목표별 수업이론)

학급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