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근대의 역사교육

1. 삼국~조선전기의 역사교육

전근대 사회의 역사교육은 독립적인 하나의 분야가 아니라 경학교육의 일환으로 행해진 경사일체의 교육이었다.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는 선현의 사상과 유교적 이념을 습득하여 유교 정신을 함양하고 이를 실천에 옮기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과거를 앎으로써 현실의 삶과 행동에 올바른 선택을 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는 교훈적 역사교육관이 주된 관점을 이루었다.

조선후기인 17세기에 들어서 아동용 역사교재로 조선중기의 유학자였던 박세무가 지은 『동몽선습』이 서당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동몽선습』은 가정에서 아동들에게 유교정신과 역사를 가르치기 위해 만든 교재로, 크게 오륜을 설명한 부분과 역사를 담은 부분으로 나뉘어 진다. 역사부분에서는 간략한 중국 역대 역사와 우리의 역사를 수록하고 있다. 『동몽선습』에 담긴 우리 역사 내용은 매우 간략하며, 그나마 서술분량은 중국사의 2/3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소중화의 관념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으며, 기자에 의해 우리의 풍속이 교화되었다고 하는 등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것 중에서 역사교재용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책이며, 우리의 역사를 단군에서 시작한다고 서술하고 있는 등 민족사의 전통을 드러내는 서술을 하고 있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2. 실학자의 역사교육관

실학자들은 역사를 하나의 독자적인 학문 분야로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경사일체의 관념에서 탈피하였으며, 종래 역사서술의 모범이었던 주자의 『자치통감강목』을 비판하였다. 중국 중심의 화이관을 극복하고 자국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한 것도 두드러진 변화이다. 실학자들 중에는 우리나라 역사에도 정통론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면 홍여하『동국통감제강』에서 기자-마한-신라로 이어지는 정통론을 제시하고 자국사 중심의 역사서술을 주장하였다. 이익단군-기자-마한으로 이어지는 삼한정통론을 내세우면서 중국과 대등한 역사 발전을 주장하였다. 안정복 역시 단군-기자-마한-신라-고려로 이어지는 정통론을 제시하였다. 이 시기에 정통론의 입장에서 우리나라 역사의 흐름을 보려고 하였다는 점은 이제 중국 중심의 세계관과 역사관에서 탈피하기 시작하였음을 보여준다.

한편 이익고금의 성패를 통치자의 재덕이 아닌 시세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이익의 견해는 영웅주의적 역사 해석이나 도덕 중심의 사관을 점차 극복하고 있으며, 역사발전에서 민(民)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음을 보여준다. 정약용역사발전의 원동력은 개인이 아니라 중인(衆人)이라고 생각하고, 물질면에서 역사의 진보를 논하였다는 것도 주목할만한 일이다.

이러한 역사관의 변화에 따라 역사연구의 방법도 달라져 갔으며, 역사교육관도 변화하였다. 실학자들 중에는 실증적 방법으로 역사를 연구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고대사 인식이 체계화되고 그 폭이 확대됨에 따라 한반도 중심의 역사서술에서 요동과 만주 일대를 민족사의 무대로 확대하고 고구려의 역사 전통을 강조하게 되었다. 한치윤의 『해동역사』안정복의 『동사강목』에서는 역사적 사건과 그 주체적 인물들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시도하였다. 또한 역사지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여 역사연구에서 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고대사 연구에 연결시키기도 하였다. 한편 안정복의 『동사강목』은 우리나라 역사를 강목체 형식으로 편집한 최초의 역사책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실학자들의 역사교육론에서 주목할만한 것은 국사교육을 중국사 못지 않게 중시하였다는 점이다. 이익성균관의 교육과정에서 역사 분야가 하나였던 것을 제사, 춘추좌전, 본국사의 세 가지 과정으로 확대할 것교육과정에 『퇴계집』을 넣을 것, 과거시험 과목에 중국사와 함께 국사를 포함시킬 것을 주장하였다. 안정복 또한 우리나라 사람이 우리나라 역사에 대하여 모르는 것에 대해 우려하면서 자국사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박지원, 정약용 등은 당시 역사교육용 교재로 널리 읽히던 『천자문』, 『통감절요』, 『사략』을 읽지 말자 삼서불가독설을 주장하였는데, 이는 자국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의미의 파악 없이 맹목적으로 외우게 하는 교육 방법의 문제점을 지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학자들의 역사연구와 역사교육관은 개화기, 한말로 이어져 근대 역사학과 역사교육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 교육과정 & 잠재적 교육과정

교수학습이론4(가네의 목표별 수업이론)

학급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