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교육내용의 조직단계

1. 교육과정의 내용 조직

교육과정의 단계에서 내용을 조직하는 원리에는 계속성의 원리, 계열성의 원리, 통합성의 원리가 있다. 계속성과 계열성은 교육내용을 종적으로 조직하는 원칙이다. 교육내용을 종적으로 조직한다는 것은 학교 수준별로 또는 학년 수준별로 교육내용을 조직한다는 뜻이다. 횡적조직은 동일한 학년 수준에서 여러 교육내용들을 서로 관련시켜 조직하는 것이다. 횡적조직의 원칙은 통합성의 원리를 말하며, 개념, 주제, 문제 등을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통합조직 방법이다.

교육과정의 내용을 학교급별로 효율적으로 조직하는 방법으로는 단원 편성을 다르게 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외형적으로 볼 때 가장 두드러진 계열화의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적절한 내용이 담보되지 않을 경우 외형과는 달리 실제 내용에서는 별다른 계열성을 확보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내용 자체를 달리하는 방법이다. 다시 말해 초중고등학교에서 다루는 내용의 범주를 달리하는 것이다.

2. 교과서의 내용조직

교과서의 단원을 편제하고 서술 순서를 정할 때는 내용의 구조화와 계열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못할 경우 내용 간의 연결성이 부족한 파편적 형태를 보이게 된다. 내용 구성의 유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 단원에서 다룰 내용의 범위를 분명히 정한 후, 선행 단원과 후속 단원의 내용이 원할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교과서 내용 구성은 흔히 교과의 기본 구조와 지식의 계열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지식의 전이성이 큰 핵심 개념을 추출하고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교육내용을 재조직한다. 또한 새로운 내용을 이미 학습한 내용과 연관지어 제시하면 학습을 교정하고 명료화할 수 있다.

교과서의 내용을 구성하는 방법은 설명형, 탐구형, 이야기형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교과서 내용 조직은 전체 내용을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으로 나누어 각 단원별로 내용의 범위와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단원 전체의 학습내용 구조와 단원에서 학습해야 할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의 개요를 파악하게 한다.

학습내용과 함께 학습자의 탐구활동을 돕기 위한 자료와 학습과제도 편성한다. 이 단계에서 보충 및 심화학습이 완결되어야 하며, 개념 및 용어정리, 그리고 형성평가 등을 통해 학습정리를 한다.

교과서 단계에서 역사 교육내용을 조직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학의 학문적 연구 성과와 연구 동향을 반영한다. 둘째, 역사적 사고력과 탐구 능력의 개발에 주안점을 둔다. 셋째, 학생들의 발달 정도를 고려하여 내용 요소를 수준에 맞게 해석하거나 설명하여 조직한다. 넷째, 사회과 및 타 학문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내용을 보완한다. 다섯째, 단원별 내용의 특징을 고려한다.

3. 수업의 내용조직

수업의 계열화에는 단원 내의 구성 요소나 학습활동을 달리하여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예컨대 학년별 수업의 단계를 '방법적 지식 → 학습활동 → 역사인식 → 탐구활동' 과 같은 순서로 발전시키는 방식이다.

하나의 주제를 놓고 인식의 범위와 이해 수준을 달리하는 계열화의 방법도 있다. 이러한 수업 내용 조직은 주제에 대한 인식의 수준은 점차 고양 확장하는 방식으로 계열화를 시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수업 내용을 사례 중심으로 조직하는 방법도 있다. 사례 중심 방법은 사례가 먼저 제시되고 일반적인 학습내용이 이어지는 귀납적 방법의 내용 조직을 기본으로 한다. 사례는 수업의 핵심 내용을 이끌어주고 내용의 조직자가 됨으로써, 단편적인 역사 사실들을 하나의 개념이나 주제로 엮어주는 역할을 한다. 사례가 선행 학습자로 기능하여 학습내용의 유의미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사례를 중심으로 관련 지식이나 개념이 유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학습의 효율성과 지식의 실용성도 높일 수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 교육과정 & 잠재적 교육과정

교수학습이론4(가네의 목표별 수업이론)

학급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