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습에서 수행평가의 의미와 방법
1. 수행평가의 의미
수행평가는 기존에 시행되던 객관식 평가나 결과에 치중하는 평가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수행평가는 학생이 학습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이나 그 결과를 보고 학생의 지식이나 기능, 태도 등을 전문적으로 판단하는 평가방식으로, 학생이 스스로 지식이나 기능, 태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답을 작성하거나 발표하거나 산출물을 만들거나 행동으로 나타내도록 요구한다. 수행평가에서는 평가자인 교사의 관찰과 질적인 판단이 중요하다.
수행평가의 근본적인 특징은 교수-학습과 평가의 통합을 추구한다는 점이다. 수행평가는 교수-학습의 과정 속에서 일어나며 궁극적으로는 학습을 위해서 실시하는 것으로 수업의 개선과 맞물려 있어야 하고, 학생의 탐구와 개인적 발달을 조장하며, 학습자 간의 협력학습을 촉진하는 것이어야 한다.
수행평가의 또 다른 특징은 학습자의 맥락적 지식을 포함한 총체적 발달에 초점을 둔다는 점이다. 따라서 수행평가에서는 학습자의 지식과 태도, 기능을 확인하는 데 적절한 평가도구는 무엇이든지 다양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수행평가는 학습활동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평가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교정하고 자극하는 효과가 크다.
수행평가를 통해 학생들이 실제로 수행하는 학습활동을 직접 평가함으로써 학생의 인지적으로 아는 것뿐만 아니라 아는 것을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2. 수행평가의 방법
여러 평가도구 중에서 어떤 것이 효과적인가는 수행평가를 통해서 무엇을 측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측정할 경우 논술이나 서술형 시험이 유용하다. 시무책이나 상소문 작성, 역사신문 만들기 같은 평가도구도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알아보는 데 효과적이다.
학습의 과정이나 활동을 평가하는 데는 포트폴리오, 모형 만들기 같은 방식이 효과적이다. 그 외에 극화학습이나 토론학습에서 학생의 활동을 관찰하는 수행평가도 가능한데, 이는 학습 과정이나 활동을 평가하는 것임과 동시에 학생의 사고 가정을 평가하는 것이기도 하다.
역사 학습에서 활용되는 이러한 수행평가도구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제작물의 형태로 학생들의 학습 결과나 학습 과정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제작물을 과제로 부과할 경우에는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가 되고 수업 시간에 직접 작성하도록 할 경우에는 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가 된다. 학생들의 다양한 소질과 재능을 드러내고 그것을 학업 성취의 일환으로 반영한다. 또한 역사를 접하고 이해하는 방식이 다양하기 때문에 그것을 표현하는 방식도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평가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역사 주제에 대해 다양한 글을 쓰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주로 학습 결과에 대해 평가하는 방식이지만 수업 중에 수행하게 함으로써, 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가 될 수도 있다. 학생들은 이 방식을 통해 독창적이고 자유로운 생각을 드러내고 자신의 소질과 흥미를 반영하는 글을 쓸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이 말과 몸짓으로 직접 표현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주로 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이지만 학습한 결과를 표현하는 것이므로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학생들은 자신에게 적합한 표현 방식을 선택하여 자신의 역사 이해와 관점을 표현함으로써 학습의 과정과 결과를 평가받을 수 있다.
3. 수행평가 유의점
수행평가는 수업 과정 자체를 평가의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학생의 사고 활동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평가방식을 다양화하고 교사의 평가재량권을 넓혔다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수행평가는 과정평가이므로 가능한 한 수업 중에 시행해야 한다. 수행평가를 과제 형태로 부과하는 경우 대개 여러 과목에서 비슷한 시기에 부과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큰 부담을 주게 되고, 교사들은 일시에 많은 과제를 평가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그리고 학생들이 과제를 대리 작성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수행평가는 기존 평가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것이지, 전면적으로 거부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평가체제는 단순한 지식이나 정보의 습득 여부를 평가하기에는 좋은 평가 방법이지만, 학생들의 창의력이나 문제 해결력 같은 사고력을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역사적 사고력을 비롯하여 학생들의 사고력을 자극하고 신장시키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수행평가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수행평가는 기존에 시행되던 객관식 평가나 결과에 치중하는 평가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수행평가는 학생이 학습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이나 그 결과를 보고 학생의 지식이나 기능, 태도 등을 전문적으로 판단하는 평가방식으로, 학생이 스스로 지식이나 기능, 태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답을 작성하거나 발표하거나 산출물을 만들거나 행동으로 나타내도록 요구한다. 수행평가에서는 평가자인 교사의 관찰과 질적인 판단이 중요하다.
수행평가의 근본적인 특징은 교수-학습과 평가의 통합을 추구한다는 점이다. 수행평가는 교수-학습의 과정 속에서 일어나며 궁극적으로는 학습을 위해서 실시하는 것으로 수업의 개선과 맞물려 있어야 하고, 학생의 탐구와 개인적 발달을 조장하며, 학습자 간의 협력학습을 촉진하는 것이어야 한다.
수행평가의 또 다른 특징은 학습자의 맥락적 지식을 포함한 총체적 발달에 초점을 둔다는 점이다. 따라서 수행평가에서는 학습자의 지식과 태도, 기능을 확인하는 데 적절한 평가도구는 무엇이든지 다양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수행평가는 학습활동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평가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교정하고 자극하는 효과가 크다.
수행평가를 통해 학생들이 실제로 수행하는 학습활동을 직접 평가함으로써 학생의 인지적으로 아는 것뿐만 아니라 아는 것을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2. 수행평가의 방법
여러 평가도구 중에서 어떤 것이 효과적인가는 수행평가를 통해서 무엇을 측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측정할 경우 논술이나 서술형 시험이 유용하다. 시무책이나 상소문 작성, 역사신문 만들기 같은 평가도구도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알아보는 데 효과적이다.
학습의 과정이나 활동을 평가하는 데는 포트폴리오, 모형 만들기 같은 방식이 효과적이다. 그 외에 극화학습이나 토론학습에서 학생의 활동을 관찰하는 수행평가도 가능한데, 이는 학습 과정이나 활동을 평가하는 것임과 동시에 학생의 사고 가정을 평가하는 것이기도 하다.
역사 학습에서 활용되는 이러한 수행평가도구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제작물의 형태로 학생들의 학습 결과나 학습 과정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제작물을 과제로 부과할 경우에는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가 되고 수업 시간에 직접 작성하도록 할 경우에는 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가 된다. 학생들의 다양한 소질과 재능을 드러내고 그것을 학업 성취의 일환으로 반영한다. 또한 역사를 접하고 이해하는 방식이 다양하기 때문에 그것을 표현하는 방식도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평가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역사 주제에 대해 다양한 글을 쓰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주로 학습 결과에 대해 평가하는 방식이지만 수업 중에 수행하게 함으로써, 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가 될 수도 있다. 학생들은 이 방식을 통해 독창적이고 자유로운 생각을 드러내고 자신의 소질과 흥미를 반영하는 글을 쓸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이 말과 몸짓으로 직접 표현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주로 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이지만 학습한 결과를 표현하는 것이므로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학생들은 자신에게 적합한 표현 방식을 선택하여 자신의 역사 이해와 관점을 표현함으로써 학습의 과정과 결과를 평가받을 수 있다.
3. 수행평가 유의점
수행평가는 수업 과정 자체를 평가의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학생의 사고 활동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평가방식을 다양화하고 교사의 평가재량권을 넓혔다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수행평가는 과정평가이므로 가능한 한 수업 중에 시행해야 한다. 수행평가를 과제 형태로 부과하는 경우 대개 여러 과목에서 비슷한 시기에 부과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큰 부담을 주게 되고, 교사들은 일시에 많은 과제를 평가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그리고 학생들이 과제를 대리 작성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수행평가는 기존 평가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것이지, 전면적으로 거부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평가체제는 단순한 지식이나 정보의 습득 여부를 평가하기에는 좋은 평가 방법이지만, 학생들의 창의력이나 문제 해결력 같은 사고력을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역사적 사고력을 비롯하여 학생들의 사고력을 자극하고 신장시키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수행평가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cf) 포트폴리오
답글삭제1) 개념 : 학생들이 학습하는 과정에서 만들거나 수집한 자료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모아놓은 작품집
2) 특징 : 짧게는 한 단원, 길게는 한 학기나 한 학년에 걸쳐 계속됨, 지속적이고 누적적이며 종합적인 평가도구로 많이 활용됨
3) 장점 : 개별 학생이 학습과제나 학습활동을 수행한 과정을 살펴볼 수 있고, 그 수준이나 질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음
cf) 수행평가 기준
답글삭제제작물에 대한 평가기준
1) 제작물의 주제가 분명한가?
2) 제작에 필요한 선행 지식이 적절한가?
3) 제작 기술과 표현력이 탁월한가?
글쓰기에 대한 평가기준
1) 자신의 주제를 선택하고, 그 주제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가?
2) 글의 의미를 분명하게 나타냈는가?
3) 자료의 수집과 활용이 적절한가?
4) 적절한 수정 전략과 편집 기술을 사용하였는가?
5) 쓰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학생들이 말과 몸짓으로 직접 표현하는 방식의 평가기준
1) 역사 주제에 대한 이해가 높은가?
2) 자료의 분석과 관점의 형성이 적절한가?
3) 표현 자세와 태도가 올바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