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 정리2

8. 진보주의

1) 교육목적 : 현재생활의 적응
2) 교육과정 : 경험중심 교육과정 제시
3) 교육내용 : 아동의 현재생활의 필요, 흥미,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 경험의 재구성
4) 교육방법 : 아동의 필요 흥미를 이용한 학습지도법 주장(문제해결학습법, 구안법)
5) 교육평가 : 절대평가 선호
6) 의의 : 교육의 실용성 실천성 향상, 학습자 중심의 교육, 민주주의 성장 발달 공헌

9. 본질주의

1) 진보주의에 대한 비판(지나친 아동중심, 보편적인 것 무시 등)
2) 교육목적 : 본질적 문화유산의 전달
3) 교육내용 : 체계적 지식이 담긴 교과서 중심, 고전문학
4) 교육방법 : 교사 중심의 전통적인 학문적 훈련방식

10. 항존주의

1) 진보주의에 대한 전면적인 거부
2) 교육목적 : 변하지 않고 영원한 이성 정신 영혼 등의 훈련을 통하여 혼탁한 세상에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 것
3) 교육방법 : 교사 중심의 훈육적인 교육방법
4) 교육내용 : 위대한 고전 강조

11. 실존주의

1) 교육목적 : 자아실현적 인간 형성
2) 교육내용 : 삶의 부조리나 실존적 긴장, 즉 불안 등을 강조, 인문학, 예술
3) 교육과정 : 비연속적인 교육과정 중시, 만남과 각성
4) 교사의 역할 : 학생 자신의 주체적인 선택과 결정을 조장해야 함
5) 의의 : 전인교육, 인간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역할의 중요성 강조, 교육의 비연속적 형성 가능성 주목

12. 분석철학

1) 교육철학의 특징 : 분석적 과정, 평가적 과정, 사변적 과정, 통합적 과정
2) 교육의 개념 : 개념적 조건, 규범적 조건, 가능성의 조건
3) 시사점 : 의사전달이 명확해야 함, 논리학의 공식과 법칙을 준수하여 일과성있게 추리해야함, 지식은 전문가에 의해 공식적으로 실증되어야 함, 교사의 지식은 신뢰할 수 있어야함, 지식은 객관적이어야 함 등

13. 비판이론

1) 과학적 합리주의 비판, 교육의 상대적 자율성
2) 교육목적 : 개개인이 지배집단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조성되는 그릇된 의식을 극복하고 사회의 실제에 대하여 자율적이고 비판적인 의식을 함양하여 개인과 사회를 해방시키는 것
3) 교육내용 : 의식화 교육(인문교육, 여성해방교육, 사회과학교육 강조)
4) 교육방법 : 토론과 대화, 갈등현장 견학, 비판적 읽기와 쓰기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동기 이론3(성취동기, 성취목표이론)

경험중심 교육과정 + 학문중심 교육과정

교수학습활동에 따른 수업유형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