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 역사설명
1. 개념과 용어의 설명
역사 교사는 학생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는 어려운 개념이나 용어의 의미를 알기 쉽게 해설해주어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다. 역사 수업에서 개념과 용어의 설명이 중요한 이유는 역사에는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추상적 개념이나 용어가 많기 때문이다. 개념과 용어의 설명은 역사적 설명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설명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개념과 용어에 관한 설명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개념의 내포적 정의와 외연적 정의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교사는 또 개념의 의미를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개념의 속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례나 비유들을 적절하게 활용할 필요가 었다.
역사적 사고력의 발달단계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역사적 개념의 이해 정도가 곧 역사적 사고력의 발달 수준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역사적 설명에서 중요한 개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여러 가지 전략을 구사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활동이 될 것이다.
그러나 개념이나 용어에 대한 설명에서 유의할 점은 개념이나 용어를 올바르게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과 개념이나 용어의 의미는 시대나 사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개념과 용어 설명에 대한 난점들을 인식하고 개념이나 용어가 내포하는 의미에 대해 좀 더 정확한 정의를 내릴 필요가 있다.
2. 총괄적 설명
역사가는 특정한 역사적 사건을 설명할 때 문제의 그 사건이 그 시대에 진행되고 있었던 일반적 움직임의 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말하면서 설명을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역사가가 서로 관련 있는 일련의 사건들을 설명하면서 적절한 개념 아래 그 사건들을 한데 묶어서 설명하는 것을 월시(W. H. Walsh)는 총괄이라고 불렀다.
총괄적 설명은 인간의 목적, 동기 및 의도를 가지고 인간 행위를 설명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합리적 설명과 같다. 그러나 총괄적 설명은 개별적인 인간 행위 자체보다는 그 행위 때문에 발생한 사건들이 그 시대의 일반적 움직임 속에 어떻게 위치하는가에 초점을 둔다.그러므로 총괄적 설명에서는 어떠한 인간 행위가 초래한 사건과 다른 사건들 사이의 관련성을 찾아내고, 일정한 개념 아래 그 사건들을 한데 묶는 과정에 관심을 가진다.
총괄적 설명은 사건의 인과관계를 법칙적으로 설명하는 데에는 관심이 없고, 그 사건의 성격을 밝히는 데에만 관심을 가진다.
학생들은 총괄을 통해 특수한 사건을 일정한 이념이나 동향과 관시켜 이해하게 되며, 그 사건을 일정한 이념이나 동향과 관련시켜 이해하게 되며, 그 사건을 상호 관련된 전체의 일부로 파악하게 된다. 이것은 학생들로 하여금 사건들 간의 관계를 좀 더 의미있게 알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총괄은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역사 학습의 구조화에 이용될 수 있다.
3. 비교적 설명
비교적 설명은 각각 다른 시대, 국가, 문명, 지역에서 일어난 두 가지 이상의 사실이나 사건들을 비교하면서 유사성과 차이성을밝히고, 이를 통하여 그 사실이나 사건들의 성격을 분명하게 알려주기 위한 설명 방식이다.
비교적 설명의 목적은 비교 대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그 원인을 규명하여, 이를 통하여 비교 대상을 더욱 폭넓게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비교적 설명을 할 때는 비교의 대상에 대한 선입견을 갖거나 우열의 판단을 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4. 유추에 의한 설명
유추란 두 개의 사물이나 사건들 가운데 그중 하나에 관해서 알고 있는 사실을 토대로 거의 알지 못하는 다른것에 대해서 추리를 하는 설명 방식을 말한다.
유추에 의한 설명을 할 때 교사는 학생들에게 친숙한 사물이나 일반적 경험 혹은 역사적 사례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잘 알지 못하는 역사적 사실을 추리하는 식으로 설명을 이끌어낸다.
역사적 설명에서 유추가 필요한 이유는무엇인가? 그것은 학생들이 배우는 역사적 사실은 이미 지나가버린 과거의 사실로, 학생들이 직접 관찰하거나 경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유추를 활용함으로써 교사는 새로운 역사적 사실들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추에 의한 설명에서는 역사적 사실들의 비교, 대조, 분석 등의 고차적 활동이 요구되는데 이를 통해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를 촉진시킬 수 있다.
역사 수업에서 유추를 이용한 설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교사가 유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추는 학생들에게 친숙한 경험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둘째, 유추의 대상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성격을 잘 파악해야 한다. 셋째, 교사는 유추의 대상이 갖고 있는 차이점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5. 인과적 설명
역사가와 역사 교사에게 설명의 가장 핵심적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인과관계를 이용한 설명이다.
인과관계에 관한 설명에서는 먼저 원인의 다양성과 복수성을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건의 원인들은 그 사건의 배경을 이루는 상황적 원인과 그 사건을 촉발시키는 작용을 한 직접적 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
인과적 설명은 역사 수업시간에 널리 활용되는 설명 방식이다. 인과적 설명은 역사 학습에서 가장 기본적인 설명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인과적 설명을 통하여 학생들은 역사적 사건을 그 배경과 관련시켜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으며, 인과관계가 역사적 탐구의 중요한 과제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따져 보는 가운데 역사적 탐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과관계의 의미와 성격에 대한 성찰을 통하여 역사의식의 수준도 높일 수 있다. 더나아가 학생들은 원인의 다양성 및 상대성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역사 해석의 다양성을 깨닫게 된다.
인과적 설명에서는 역사가 혹은 역사 교사의 관점이나 가치관이 개입된다는 사실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역사적 사실의 원인에 대해 학생들이 갖고 있는 선개념 또는 오개념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수정해야 한다.
역사 교사는 학생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는 어려운 개념이나 용어의 의미를 알기 쉽게 해설해주어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다. 역사 수업에서 개념과 용어의 설명이 중요한 이유는 역사에는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추상적 개념이나 용어가 많기 때문이다. 개념과 용어의 설명은 역사적 설명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설명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개념과 용어에 관한 설명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개념의 내포적 정의와 외연적 정의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교사는 또 개념의 의미를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개념의 속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례나 비유들을 적절하게 활용할 필요가 었다.
역사적 사고력의 발달단계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역사적 개념의 이해 정도가 곧 역사적 사고력의 발달 수준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역사적 설명에서 중요한 개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여러 가지 전략을 구사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활동이 될 것이다.
그러나 개념이나 용어에 대한 설명에서 유의할 점은 개념이나 용어를 올바르게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과 개념이나 용어의 의미는 시대나 사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개념과 용어 설명에 대한 난점들을 인식하고 개념이나 용어가 내포하는 의미에 대해 좀 더 정확한 정의를 내릴 필요가 있다.
2. 총괄적 설명
역사가는 특정한 역사적 사건을 설명할 때 문제의 그 사건이 그 시대에 진행되고 있었던 일반적 움직임의 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말하면서 설명을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역사가가 서로 관련 있는 일련의 사건들을 설명하면서 적절한 개념 아래 그 사건들을 한데 묶어서 설명하는 것을 월시(W. H. Walsh)는 총괄이라고 불렀다.
총괄적 설명은 인간의 목적, 동기 및 의도를 가지고 인간 행위를 설명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합리적 설명과 같다. 그러나 총괄적 설명은 개별적인 인간 행위 자체보다는 그 행위 때문에 발생한 사건들이 그 시대의 일반적 움직임 속에 어떻게 위치하는가에 초점을 둔다.그러므로 총괄적 설명에서는 어떠한 인간 행위가 초래한 사건과 다른 사건들 사이의 관련성을 찾아내고, 일정한 개념 아래 그 사건들을 한데 묶는 과정에 관심을 가진다.
총괄적 설명은 사건의 인과관계를 법칙적으로 설명하는 데에는 관심이 없고, 그 사건의 성격을 밝히는 데에만 관심을 가진다.
학생들은 총괄을 통해 특수한 사건을 일정한 이념이나 동향과 관시켜 이해하게 되며, 그 사건을 일정한 이념이나 동향과 관련시켜 이해하게 되며, 그 사건을 상호 관련된 전체의 일부로 파악하게 된다. 이것은 학생들로 하여금 사건들 간의 관계를 좀 더 의미있게 알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총괄은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역사 학습의 구조화에 이용될 수 있다.
3. 비교적 설명
비교적 설명은 각각 다른 시대, 국가, 문명, 지역에서 일어난 두 가지 이상의 사실이나 사건들을 비교하면서 유사성과 차이성을밝히고, 이를 통하여 그 사실이나 사건들의 성격을 분명하게 알려주기 위한 설명 방식이다.
비교적 설명의 목적은 비교 대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그 원인을 규명하여, 이를 통하여 비교 대상을 더욱 폭넓게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비교적 설명을 할 때는 비교의 대상에 대한 선입견을 갖거나 우열의 판단을 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4. 유추에 의한 설명
유추란 두 개의 사물이나 사건들 가운데 그중 하나에 관해서 알고 있는 사실을 토대로 거의 알지 못하는 다른것에 대해서 추리를 하는 설명 방식을 말한다.
유추에 의한 설명을 할 때 교사는 학생들에게 친숙한 사물이나 일반적 경험 혹은 역사적 사례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잘 알지 못하는 역사적 사실을 추리하는 식으로 설명을 이끌어낸다.
역사적 설명에서 유추가 필요한 이유는무엇인가? 그것은 학생들이 배우는 역사적 사실은 이미 지나가버린 과거의 사실로, 학생들이 직접 관찰하거나 경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유추를 활용함으로써 교사는 새로운 역사적 사실들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추에 의한 설명에서는 역사적 사실들의 비교, 대조, 분석 등의 고차적 활동이 요구되는데 이를 통해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를 촉진시킬 수 있다.
역사 수업에서 유추를 이용한 설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교사가 유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추는 학생들에게 친숙한 경험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둘째, 유추의 대상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성격을 잘 파악해야 한다. 셋째, 교사는 유추의 대상이 갖고 있는 차이점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5. 인과적 설명
역사가와 역사 교사에게 설명의 가장 핵심적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인과관계를 이용한 설명이다.
인과관계에 관한 설명에서는 먼저 원인의 다양성과 복수성을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건의 원인들은 그 사건의 배경을 이루는 상황적 원인과 그 사건을 촉발시키는 작용을 한 직접적 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
인과적 설명은 역사 수업시간에 널리 활용되는 설명 방식이다. 인과적 설명은 역사 학습에서 가장 기본적인 설명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인과적 설명을 통하여 학생들은 역사적 사건을 그 배경과 관련시켜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으며, 인과관계가 역사적 탐구의 중요한 과제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따져 보는 가운데 역사적 탐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과관계의 의미와 성격에 대한 성찰을 통하여 역사의식의 수준도 높일 수 있다. 더나아가 학생들은 원인의 다양성 및 상대성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역사 해석의 다양성을 깨닫게 된다.
인과적 설명에서는 역사가 혹은 역사 교사의 관점이나 가치관이 개입된다는 사실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역사적 사실의 원인에 대해 학생들이 갖고 있는 선개념 또는 오개념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수정해야 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