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목적
1. 외재적 목적
외재적 교육목적은 교육이 교육 외적으로 존재하는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써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입장으로, 이때 유용성이 목적을 위해 이용될만한 수단의 정당성으로 제시된다. 교육은 개인이나 사회적 요구와 같은 교육 외적인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으로, 교육의 가치는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가치와 같은 다른 목적의 달성 여부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규정된다는 것이다. 그린(T. Green)은 교육은 하나의 도구와 같아서 인간이 택하는 어떤 목적을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2. 내재적 목적
내재적 교육목적은 교육하는 것 그 자체가 교육의 목적이 된다는 입장이다. 즉, 교육의 본질적 기능을 중시하는 것으로 교육목적은 교육과정 그 자체 속에 존재한느 것으로 본다. 교육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내적인 기쁨과 지적 경험, 성장 자체의 가치 때문에 교육을 추구하는 것이다.
3. 외재적 목적 vs 내재적 목적
교사의 가르치는 행위가 평가난 경쟁과 같은 교육의 외재적 목적을 향하게 되면 학교의 선발 기능을 실현하거나 한정된 기능을 발달시키는 데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교육이 가지고 있는 높은 수준의 보편적 가치를 전달하고 실현하는 일은 더욱 소홀해진다.
학생들에게 '훈련'이 아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교육자가 해야 할 일이다. '훈련'이라는 것은 제한된 기술이나 사고방식을 길러주는 것으로 외재적인 목적을 염두에 둘 때 우리는 '훈련'이라는 말을 쓴다. 이러한 활동을을 통해서는 제한된 기술이나 사고방식을 익히는 것 이사의 것을 얻을 수는 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훈련은 내재적 연속성을 담지 못하기 때문이다.
외재적 목적이 강조되는 것은 학생들의 정서나 도덕성의 발달에 악영향을 미치고, 교육이 수단화되어 버린 사태를 내면화하게 된다. 공부가 수단이 되었을때 그것은 대체로 경쟁에서의 승리, 높은 성취를 위해서만 의미를 갖기 때문에 학생들은 이기적이고 사납고 배려심이 없기 쉽다. 또한 학생들은 자격증을 딸 때나 취직을 할 목적이 있을때에만 공부를 해야 한다는 생각을 내면화하게 되어 배우는 데서 오는 즐거움을 잃어버리고 내적인 상상력과 열정, 활기를 잃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처럼 교육이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이 될 때 교육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고 학생들은 정서적으로도 인격적으로도 성장하지 않을 것이다.
외재적 교육목적은 교육이 교육 외적으로 존재하는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써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입장으로, 이때 유용성이 목적을 위해 이용될만한 수단의 정당성으로 제시된다. 교육은 개인이나 사회적 요구와 같은 교육 외적인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으로, 교육의 가치는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가치와 같은 다른 목적의 달성 여부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규정된다는 것이다. 그린(T. Green)은 교육은 하나의 도구와 같아서 인간이 택하는 어떤 목적을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2. 내재적 목적
내재적 교육목적은 교육하는 것 그 자체가 교육의 목적이 된다는 입장이다. 즉, 교육의 본질적 기능을 중시하는 것으로 교육목적은 교육과정 그 자체 속에 존재한느 것으로 본다. 교육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내적인 기쁨과 지적 경험, 성장 자체의 가치 때문에 교육을 추구하는 것이다.
3. 외재적 목적 vs 내재적 목적
교사의 가르치는 행위가 평가난 경쟁과 같은 교육의 외재적 목적을 향하게 되면 학교의 선발 기능을 실현하거나 한정된 기능을 발달시키는 데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교육이 가지고 있는 높은 수준의 보편적 가치를 전달하고 실현하는 일은 더욱 소홀해진다.
학생들에게 '훈련'이 아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교육자가 해야 할 일이다. '훈련'이라는 것은 제한된 기술이나 사고방식을 길러주는 것으로 외재적인 목적을 염두에 둘 때 우리는 '훈련'이라는 말을 쓴다. 이러한 활동을을 통해서는 제한된 기술이나 사고방식을 익히는 것 이사의 것을 얻을 수는 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훈련은 내재적 연속성을 담지 못하기 때문이다.
외재적 목적이 강조되는 것은 학생들의 정서나 도덕성의 발달에 악영향을 미치고, 교육이 수단화되어 버린 사태를 내면화하게 된다. 공부가 수단이 되었을때 그것은 대체로 경쟁에서의 승리, 높은 성취를 위해서만 의미를 갖기 때문에 학생들은 이기적이고 사납고 배려심이 없기 쉽다. 또한 학생들은 자격증을 딸 때나 취직을 할 목적이 있을때에만 공부를 해야 한다는 생각을 내면화하게 되어 배우는 데서 오는 즐거움을 잃어버리고 내적인 상상력과 열정, 활기를 잃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처럼 교육이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이 될 때 교육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고 학생들은 정서적으로도 인격적으로도 성장하지 않을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