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감정이입의 단계, 비판
역사적 감정이입의 단계
감정이입이 역사 이해의 한 방식이라고 할 때 , 감정이입적 이해에 도달하려면 일련의 사고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사고 과정은 일정한 단계로 나뉘게 마련이다. 각 단계에서는 특정한 사고활동이 이루어진다.
단계 1 감정이입적 이해를 하려고 하지 않는다.
단계 2 고정관념에 의한 감정이입 - 역사적 행위를 감정이입적으로 이해하려고 한다. 그렇지만 그 시대나 사회에 대하 기존에 가지고 있던 고정관념으로 이해를 한다. 이 때문에 자기중심적 사고에 머물러 합리적 이해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단계 3 일상적 감정이입 - 역사적 행위를 특정 상황과 관련된 증거에 비추어 이해한다. 그러나 이 증거는 비슷한 상황에 언제나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그 행위가 일어났던 상황에만 특별히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4 제한적 역사적 감정이입 - 역사적 행위를 당시 상황과 관련된 증거로 이해한다. 그렇지만 특정 요인에 주목하여 과거 사람들이 그런 행위를 하게 된 이유를 파악한다. 따라서 여러 요인을 종합하여 폭넓은 맥락적 이해를 하지 못한다.
단계 5 맥락적 역사적 감정이입 - 역사적 행위를 당시 사람들의 관점이나 상황에 비추어 이해한다. 역사적 행위에 영향을 준 여러 요인을 종합하여 맥락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감정이입적 역사 이해 비판
감정이입을 역사 이해의 주요 수단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도 역사적 감정이입이 아직까지 이론적으로 체계화되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근본적인 비판은 감정이입으로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역사가와 역사적 행위자는 서로 다른 정신 코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텍스트론에서는 자료를 동일하고 확정적인 정보의 제공자가 아니라 하나의 텍스트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역사 자료는 그것을 만든 사람의 해석이 들어가 있는 하나의 텍스트이다. 역사 자료에 담겨 있는 역사적 사실은 과거에 일어났던 일 그대로가 아니라 자료를 만든 사람이 해석한 역사적 사실이다. 이런 이유로 역사 자료는 그것이 다루는 역사적 사건에서 행위자가 고려했던 요인을 그대로 담을 수 없다.
텍스트론의 관점에서 역사적 감정이입의 성격을 보여주는 맥락적 이해의 가능성을 부정하기도 한다. 맥락적 이해를 하려면 역사적 행위가 일어난 당시 상황을 알아야 한다. 그렇지만 우리는 당시 상황이라는 컨텍스트를 자료를 통해 알 수 밖에 없다. 그 자료는 만든 사람의 관점이나 해석이 들어가 있는 텍스트이다. 이처럼 극단적 텍스트론의 관점에서는 모든 자료가 텍스트이며 컨텍스트는 존재하지 핞는다. 이런 논리에서 맥락적 이해는 가능하지 않으며, 자연히 맥락적 이해를 저제로 하는 역사적 감정이입도 성립하지 않는 것이다.
젠킨스는 역사 이해에서 감정이입이 불가능한 이유를 네 가지 제시한다.
첫번째는 과거 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시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전혀 모르는 사람들의 마음속으로 들어갈수 있느냐는 것이다.
두번째는 모든 의사소통에는 반드시 해석이 포함되는데, 이 해석은 과거가 아니라 현재의 관점에서 구성될 뿐이라는 것이다.
세번째는 역사가는 이론적으로 모든 종류의 인식론, 방법론, 이데올로기적 가정 속에서 연구 작업을 한다는 점을 든다. 이와 같은 역사 만들기와 관련된 '과거를 과거답게' 만들 수는 없다는 것이 젠킨스의 주장이다.
네번째는 우리가 역사적 인물에 감정이입을 할 수 없다는 점을 든다.
역사적 감정이입에 대한 젠킨스의 비판은 감정이입적 이해가 다른사람의 마음을 그대로 이해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렇지만 역사의 감정입적 이해는 역사적 행위자가 합리적으로 행동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감정입적 역사 이해는 합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행위를 대상으로 한다. 그런데 젠킨스는 상당 부분 거기에서 벗어나는 행위를 이해할 수 없다는 이유를 들어 감정이입적 역사 이해가 불가능하다고 비판하는 것이다.
감정이입이 역사 이해의 한 방식이라고 할 때 , 감정이입적 이해에 도달하려면 일련의 사고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사고 과정은 일정한 단계로 나뉘게 마련이다. 각 단계에서는 특정한 사고활동이 이루어진다.
단계 1 감정이입적 이해를 하려고 하지 않는다.
단계 2 고정관념에 의한 감정이입 - 역사적 행위를 감정이입적으로 이해하려고 한다. 그렇지만 그 시대나 사회에 대하 기존에 가지고 있던 고정관념으로 이해를 한다. 이 때문에 자기중심적 사고에 머물러 합리적 이해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단계 3 일상적 감정이입 - 역사적 행위를 특정 상황과 관련된 증거에 비추어 이해한다. 그러나 이 증거는 비슷한 상황에 언제나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그 행위가 일어났던 상황에만 특별히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4 제한적 역사적 감정이입 - 역사적 행위를 당시 상황과 관련된 증거로 이해한다. 그렇지만 특정 요인에 주목하여 과거 사람들이 그런 행위를 하게 된 이유를 파악한다. 따라서 여러 요인을 종합하여 폭넓은 맥락적 이해를 하지 못한다.
단계 5 맥락적 역사적 감정이입 - 역사적 행위를 당시 사람들의 관점이나 상황에 비추어 이해한다. 역사적 행위에 영향을 준 여러 요인을 종합하여 맥락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감정이입적 역사 이해 비판
감정이입을 역사 이해의 주요 수단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도 역사적 감정이입이 아직까지 이론적으로 체계화되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근본적인 비판은 감정이입으로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역사가와 역사적 행위자는 서로 다른 정신 코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텍스트론에서는 자료를 동일하고 확정적인 정보의 제공자가 아니라 하나의 텍스트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역사 자료는 그것을 만든 사람의 해석이 들어가 있는 하나의 텍스트이다. 역사 자료에 담겨 있는 역사적 사실은 과거에 일어났던 일 그대로가 아니라 자료를 만든 사람이 해석한 역사적 사실이다. 이런 이유로 역사 자료는 그것이 다루는 역사적 사건에서 행위자가 고려했던 요인을 그대로 담을 수 없다.
텍스트론의 관점에서 역사적 감정이입의 성격을 보여주는 맥락적 이해의 가능성을 부정하기도 한다. 맥락적 이해를 하려면 역사적 행위가 일어난 당시 상황을 알아야 한다. 그렇지만 우리는 당시 상황이라는 컨텍스트를 자료를 통해 알 수 밖에 없다. 그 자료는 만든 사람의 관점이나 해석이 들어가 있는 텍스트이다. 이처럼 극단적 텍스트론의 관점에서는 모든 자료가 텍스트이며 컨텍스트는 존재하지 핞는다. 이런 논리에서 맥락적 이해는 가능하지 않으며, 자연히 맥락적 이해를 저제로 하는 역사적 감정이입도 성립하지 않는 것이다.
젠킨스는 역사 이해에서 감정이입이 불가능한 이유를 네 가지 제시한다.
첫번째는 과거 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시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전혀 모르는 사람들의 마음속으로 들어갈수 있느냐는 것이다.
두번째는 모든 의사소통에는 반드시 해석이 포함되는데, 이 해석은 과거가 아니라 현재의 관점에서 구성될 뿐이라는 것이다.
세번째는 역사가는 이론적으로 모든 종류의 인식론, 방법론, 이데올로기적 가정 속에서 연구 작업을 한다는 점을 든다. 이와 같은 역사 만들기와 관련된 '과거를 과거답게' 만들 수는 없다는 것이 젠킨스의 주장이다.
네번째는 우리가 역사적 인물에 감정이입을 할 수 없다는 점을 든다.
역사적 감정이입에 대한 젠킨스의 비판은 감정이입적 이해가 다른사람의 마음을 그대로 이해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렇지만 역사의 감정입적 이해는 역사적 행위자가 합리적으로 행동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감정입적 역사 이해는 합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행위를 대상으로 한다. 그런데 젠킨스는 상당 부분 거기에서 벗어나는 행위를 이해할 수 없다는 이유를 들어 감정이입적 역사 이해가 불가능하다고 비판하는 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